WebVirtMgr에 KVM Host 연결
Note :
WebVirtMgr에 접속 후Add Connection버튼을 클릭하면 몇 가지 정보를 입력하는 창이 열린다.
여기에 연결 하려는KVM의 정보를 입력 하면 된다.
- Label : 사용할 이름(예, localhost)
- FQDN / IP : 연결할
KVM의 IP주소 또는 도메인 - 사용자명 : 설치 문서에
saslpasswd2로 생성한 ID - 비밀번호 : ID생성시 설정한 패스워드
이렇게 하면 성공적으로 서버 연결이 완료 되면서 추가한 KVM 호스트가 보일 것이다.
이런 방식으로 WebVirtMgr로 여러대의 KVM호스트 서버를 관리 할 수 있다.
WebVirtMgr에 Storage 추가 하기
Note : 처음 연결한
KVM에 VM을 만들기위해 해당 VM들의 이미지가 저장될 저장소와 설치 이미지(iso 파일)이 저장될 저장소를 추가해야 한다.
DIR,LVM,CEPH등 다양한 storage pool을 지원하는데 본 문서에서는 KVM로컬 디렉토리에 저장소를 생성한다.
VM들의 이미지가 저장될 Storage Pool 생성
- 위에서 추가한
KVM호스트를 클릭하고 들어가면 좌측에 여러가지 메뉴들이 있는데 그중Storages메뉴로 들어가New Storage를 클릭한다. DIR선택- Name : 적당한 이름을 준다.(예, VMs)
- Path :
KVM호스트 서버에 가상머신들이 저장될 절대경로(예, /VMs) Create버튼을 클릭해 생성한다.
물론 Path 에 입력된 경로는 해당 KVM 호스트 서버에 존재하는 경로여야 한다. 없으면 shell에 접속해 만들고 시작한다.
설치이미지(iso 파일들)가 저장될 Storage pool 생성
New Storage클릭- Path : iso 파일들이 저장될 절대 경로(예, /ISOs)
Create버튼을 클릭해 생성한다.
이 부분도 마찬가지로 Path 경로가 없으면 만들고 시작한다.
WebVirtMgr에 Bridge 네트워크 추가하기
KVM 설치 문서에 보면 Bridge네트워크를 만들었지만 WebVirtMgr에 보면 NAT네트워크만 보일 것이다.
Bridge네트워크를 WebVirtMgr에 추가해 줘야 사용 할 수 있다.
Bridge네트워크 추가하기
- 추가한
KVM호스트 좌측 메뉴들중Networks메뉴로 들어가New Network를 클릭한다. - Type forwarding 에서
BRIDGE선택 - Name :
Bridge네트워크로 사용할 이름(예, Bridge) - Bridge Name : 설치문서에서 만들었던
Bridge인터페이스 이름(예, br0) Create버튼을 클릭해 생성한다.
여기까지 완료해야 기본적으로 VM을 만들 수 있는 기본적인 준비가 끝난다. 이제 신나게 가상머신을 만들어 사용하면 되겠다. ㅋㅋ